바다에서의 긴 여행을 마치고 육지로 올라온 뱃사람은 땅에 키스를 할 정도로 그리움을 느낀다고 한다. 우송의 마음이 바로 그랬다. 아니, 그것보다도 훨씬 기뻤고, 더욱 슬펐다.일본 자연 주의 문학의 상징, 시마자키 히가시 무라의 장편 소설 데뷔작이자 대표작.1906년에 발간되어 한국에서는 2010년 번역됐다.메이지 후기 코모로의 무로마치에 있는 피 차별 부락 출신의 세가와 우송은 백정이다.그는 아버지의 부탁으로 어려서부터 자신의 신분을 철저히 감추고 살아왔다.사범 학교를 졸업하고 이야마의 초등 학교에서 일하고 있는 그는 학생들에게 존경 받는 교사지만 항상 자신의 출신에 대해서 고뇌한다.걸린 순간, 모든 게 끝난다는 불안감은 인생을 제약하지만, 사범 학교 스승이었던 이노코 렝타로의 사상은 우송을 자극한다.신분을 밝힌 뒤 모든 것을 잃고 폐병으로 고통을 겪는 상황에서도 신분 폐지 때문에 노력한 련태랑의 모습은 죽음의 순간에도 멈추지 않았던 아버지의 부탁을 흔든다.그를 존경하는 우송은 발각의 두려움과 해방의 갈망 사이에서 고민하는 일상을 계속할 수 없다.그런 가운데 카렌타 로우와 적대 관계에 있던 정치가의 타카 야나기 토시 사부 로우는 당선을 위한 정치 자금을 확보하기 위해서 부유한 천민가의 딸과 결혼한다.그리고 그 과정에서 우송의 신분을 알고 그것을 미끼로 자신에게 협력하기를 강요한다.한편 련태랑은 자신의 야망 때문에 경멸하고 마지 않는 천민만 이용하는 토시 사부 로우의 위선을 선거 구민들에 폭로하고 앙심을 품은 그가 살해된다.자신의 정신적 지주를 잃게 된 우송는 절망했고 토시 사부 로우에 의해서 드러난 비밀은 그를 도망 갈 수 없는 상황까지 가는데···◆ ◆ ◆ ◆ ◆ ◆ 소설”파괴”는 메이지 이후 공식 폐지된 천민 계급과 신분 제도가 여전히 공고하다는 문제 의식을 환기시키는 작품이다.일본은 중세 시대부터 에타/히 닌(예다/악마)으로 불리던 천민 계급이 존재했다.그들은 주로 사람들이 기피하는 더러운 일이나 동물을 도축하고 가죽을 다루는 일을 했지만, 이는 공동체에서 꼭 필요한 일이라도 있어, 특히 가죽이나 도구를 다루는 기술자들은 전국 시대에는 매우 중요한 직업으로 대접 받기도 했다.천민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특히 강해졌을 때는 에도 시대이지만 전쟁이 사라진 세상에 사무라이들의 불만이 높아지자 그들의 분노를 다른 방향으로 때문에 행정 당국에서 오히려 차별을 부추긴 때문이다.1871년 메이지 정부는 근대화 정책의 일환으로 “서민”을 폐지하는 “평민”에 편입시켰는데 이 변화에 가장 강력히 반대한 신분은 다름 아닌 기존의 평민이었다.천민이 자신들과 동등하게 되는 것을 받아들이지 못한 평민은 그들에게 “새 평민”이라는 차별적 호칭을 부여하고 구분을 시도하고, 이 인식은 “부락민”형태로 현대의 일본에까지 이어진다.고베시의 슬럼 지구의 하나인 반마치 지구1975년에 실체가 드러난 부락 주민 총람은 이 신분 차별 문제가 여전히 일본 사회에 견고하고 있음을 단적으로 나타낸 사건이다(링크).현재는 “부락민”대신”동화”이란 표현을 쓰고 있지만 용어가 변했다고 의식이 반전될 리 없다.일본 정부는 2016년”부락 차별 해소 추진 법”을 입안하는 차별 문제의 해결을 시도하고 있지만 현재까지 해소는 지지부진한 것 같다.실제로 이 신분에 대한 의식은 일본만의 특징은 아니다.산업 혁명이 발발한 영국도 여전히 신분 의식이 존재하고 2000년 이상 봉건을 유지한 중국도 신해 혁명으로 해방이 벌어졌는데, 신분에서 빠져나오지 못한 계급은 오히려 가장 아래 신분이었다.대한민국은 어떤가?조선도 일본 못지않은 신분제 국가였다.그러나 현재 한국에 혈통에 근거한 신분 의식은 사실상 존재하지 않는다.한국이 일본과 다른 이유는 오로지”한국 전쟁”때문이다.물리적으로 멸망에 가까운 상황에 놓인 국민의 의식에서 “신분”이라는 차별은 “생존”이라는 절대 과제에 완전히 지운다.인구 이동이 거의 없는 농촌 지역에서도 가끔 유지돼온 계급 의식조차 70년대에 시작된 “새마을 운동”을 계기로 완전히 없어진다.어떤 사람은 일본의 신분 차별이 사라지지 않는 이유를 천황제와 황실의 유지 때문이라고 지적한다.신분제의 큰 명분이 공고이니, 근본적인 변화가 일어날 리가 없다는 판단이다.일본에서 3번 영화화, 3번 드라마화됐다.처음의 영상화는 1948년에 키노시타 케이스케 감독에 의해서 행해진다(링크), 2022년에 마에다 카즈오 감독에 의해서 다시 영화화된(링크).